IT의 모든 것, 코아아이티
IT 보안 용어 뜻풀이 - VPN, IDS, IPS, DPI, NAC, SASE 본문
안녕하세요. 코아아이티입니다. 저희는 홈페이지 및 소프트웨어 개발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구축 및 유지 보수도 제공해 드리고 있는데요. 이번에는 IT 보안 용어인 VPN, IDS, IPS, DPI, NAC, SASE 뜻이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할게요.
VPN - 인터넷을 통한 보안 통로
VPN은 Virtual Private Network의 약자로 가상 사설 네트워크를 의미합니다. 흔히 비밀 터널이라고 부르며 일반 도로가 누구나 다니는 길이라면, VPN은 나만의 전용 차선이 있는 것과 같아요. 카페 와이파이나 공항 와이파이를 쓸 때, 그냥 쓰면 옆 사람이 내 데이터를 엿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VPN을 쓰면 인터넷 위에 암호화된 전용 통로가 생겨서 아무도 그 안을 들여다볼 수 없어요.
회사 내부 네트워크에 접속하거나 개인이 인터넷에서 보안을 강화할 때 활용되며 특히 재택근무와 원격근무 환경에서는 필수적인 기술로 자리 잡았습니다.
IDS - 침입을 알려주는 시스템
IDS는 말 그대로 네트워크나 시스템에 이상한 접근이 있는지 감시하고 문제가 발생하면 관리자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즉, 스스로 막지는 않고 경고만 하는 시스템이에요.
IDS는 Intrusion Detection System의 약자로 침입 탐지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데이터 패킷을 분석해 정상적인 트래픽인지 악의적인 공격인지 판단하고 이상 징후가 있으면 관리자 콘솔에 알림을 남겨줍니다.
예를 들어, 누군가 회사 서버에 무차별 대입 공격(Brute Force)을 시도한다면 IDS는 그 기록을 남기고 관리자에게 알려주는 식으로 동작합니다.
최근에는 IDS 단독보다는 IPS와 함께 사용되거나 통합 보안 장비(UTM, NGFW 등)에 포함되는 경우가 많아요.
IPS - 실제로 차단하는 보안
IPS는 IDS와 달리 공격을 탐지하면 곧바로 차단까지 해줍니다. 즉, 방어 능력을 가진 보안 장비예요.
IPS는 Intrusion Prevention System의 약자로 IDS처럼 네트워크를 감시하면서 동시에 차단 규칙을 적용해 실시간으로 공격을 막아줘요.
예를 들어 악성코드가 포함된 패킷이 들어오면 IDS는 단순히 위험하다고 알리지만 IPS는 그 패킷 자체를 네트워크에서 제거하거나 접속을 끊어버립니다.
기업 환경에서는 방화벽과 함께 IPS를 배치해서 네트워크 보안을 한층 강화하는 경우가 많아요.
DPI - 속까지 들여다보는 검사
DPI는 단순히 헤더 정보만 보는 게 아니라 데이터 패킷 안쪽 내용까지 확인하는 기술이에요. 즉, 표면 검사가 아니라 정밀 검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DPI는 Deep Packet Inspection의 약자로 심층 패킷 분석 기술을 의미합니다. 패킷의 목적지 주소뿐만 아니라 실제 내용(메시지, 파일 조각, 애플리케이션 데이터)까지 검사합니다.
이 기술은 보안 목적으로 악성 트래픽을 찾아내거나, 통신사에서 트래픽 관리(QoS)를 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특정 사이트 접속을 제한하거나 영상 스트리밍 트래픽만 구분해서 대역폭을 제어하는 데 쓰이기도 해요. 다만 사생활 침해 논란이 있어서 법적, 윤리적 기준에 맞게 활용해야 합니다.
NAC - 허가받은 사람만 접속하는 네트워크
Network Access Control의 약자로 네트워크 접근 제어를 의미합니다. 네트워크에 접속하려는 기기가 안전한 지를 먼저 확인하는 기술이에요. 즉, 백신이 설치되지 않았거나 최신 보안 패치를 적용하지 않은 기기는 네트워크에 들어오지 못하게 막습니다.
회사 네트워크에 접속하려는 모든 사용자와 장치에 대해 인증(아이디와 비밀번호, 인증서 등)과 보안 검증 절차를 거치게 해요. 이를 통해 내부 네트워크로 침입할 수 있는 가능성을 줄이고, BYOD(개인 기기 사용) 환경에서도 안전을 확보할 수 있어요. 최근에는 클라우드 기반 NAC도 등장해 원격근무 환경에서 기기 상태를 검증하는 데 많이 활용됩니다.
SASE - 클라우드 기반에서 제공되는 보안
SASE는 Secure Access Service Edge의 약자로 보안 접근 서비스 엣지를 의미합니다. 기종네는 회사 본사 네트워크를 통해서만 보안이 적용됐다면 이제는 인터넷 어디서 접속하든 같은 수준의 보안을 받을 수 있어요. VPN, 방화벽, SWG(웹 게이트웨이), CASE(클라우드 접근 브로커) 등 여러 기능을 하나로 통합해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로 제공합니다.
기업은 자사, 원격근무자, 클라우드 앱 사용자 모두를 하나의 정책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고 사용자는 어디서든 안전하게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어요. 최근 디지털 전환과 함께 SASE 도입이 빠르게 늘어나고 있으며 차세대 네트워크 보안 모델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네트워크 보안 용어인 VPN, IDS, IPS, NAC, SASE에 대해 간단히 알아봤어요.
저희는 시스템 개발부터 서버 가상화, 보안, 네트워크 구축 및 유지 보수까지
IT 전반에 걸친 솔루션을 제공해 드리고 있습니다.
IT 솔루션에 대해 보다 더 자세한 내용이 알고 싶으시다면 메일이나 전화를 통해 말씀 주세요.
친절하고 상세하게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IT의 모든 것, 코아아이티
'IT 라이브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용어 뜻풀이 - MVNO, SNS, M2M, 스마트시티, SIM 록/프리 (3) | 2025.09.25 |
---|---|
선택이 아닌 필수! RAID의 특징과 장단점, 종류 알아보기 (0) | 2025.09.16 |
고든 무어, 리누스 토발스, 앨런 케이 등 IT 관련 인물에 대해 알아보자 (1) | 2025.09.09 |
마크 저커버그, 폰 노이만, 앨런 튜링, 래리 페이지, 세르게이 브린 - IT 인물 소개 (1) | 2025.09.02 |
IT 기업 간단히 알아보기 - 엔비디아, 인텔, IBM, 오라클, 아마존 (3) | 2025.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