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의 모든 것, 코아아이티

IT 용어 뜻풀이 - MVNO, SNS, M2M, 스마트시티, SIM 록/프리 본문

IT 라이브러리

IT 용어 뜻풀이 - MVNO, SNS, M2M, 스마트시티, SIM 록/프리

코아아이티 2025. 9. 25. 09:10
반응형

 

 안녕하세요. 코아아이티입니다. 이번에는 MVNO, SNS, M2M, 스마트시티, SIM 록과 프리가 무엇인지 IT 용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SIM - 록과 SIM 프리 이동통신사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가 특정 이동통신사의 회선만 사용할 수 있는지, 아니면 어떤 이동통신사의 회선이든 다 사용할 수 있는지를 의미하는 용어예요. 어떤 회선이 사용할 수 있느냐 없느냐는 그 회선용의 SIM을 사용할 수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결정되는데 특정 이동통신사의 SIM밖에 사용하지 못하게 만든 것을 SIM 록이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이 록을 해제하면서 어떤 이동통신사의 SIM이든 사용할 수 있게 만든 것이 SIM 프리예요.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는 스마트폰 등에 끼워서 사용하는 전화번호나 이용하는 이동통신사의 식별 정보 등을 기록한 작은 카드형 부품입니다. 전 세계의 어떤 단말기와도 중복되지 않는 고유 번호가 할당되어 있어요.

 

 2021년에는 휴대전화 요금 인하를 위한 대책으로 SIM 록의 원칙적 금지와 eSIM의 보급이 진행되고 있었는데요. 끼우고 빼는 SIM 카드가 아니라 단말기 속에 심어 놓은 SIM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으로 이를 이용하려면 SIM 프리 단말기가 필요합니다.

 

MVNO - 통신 회선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이동통신사

 

 자신의 통신 설비를 보유하지 않고 대형 이동통신사로부터 빌린 회선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사예요. 실제 회선을 보유하고 있지 않아서 가상(Virtual)이라는 의미의 MVNO 또는 가상 통신망 사업자라도 부르며 일반적으로는 알뜰폰이라는 명칭이 많이 사용됩니다. MVNO는 자신의 통신 서비스용 저가 SIM 카드를 파는데 대형 이동통신사에 비해 저렴한 것이 강점이며 요금 인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어요.

 

 요금이 저렴한 가장 큰 이유는 통신 설비를 보유하고 있지 않아서 비용을 절약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 또한 빌려 쓰는 회선 수를 조정하거나 인터넷 망을 이용하면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혼잡에 따른 속도 저하나 통신 속도의 제약, 요금제에 따라 오히려 비싼 경우도 있다는 약점도 있어요.

 

 일본에서는 소프트뱅크의 와이모바일이나 au(KDDI)의 UQ mobile 등의 서브 브랜드가 있습니다. MVNO로 고객이 이탈하는 것에 대한 대항책으로 대형 이동통신사가 시작한, 자사의 통신 설비를 사용해 운영하는 MVNO에요.

 

SNS - 인터넷의 세계에서 확대되는 친구의 네트워크

 

 인터넷에 사회를 형성하는 네트워킹 서비스를 가리킵니다. 우리는 가족, 학교, 회사, 지역 등 실제 생활공간을 통해 사회를 형성하고 있는데 SNS는 인터넷에 이런 사회를 제공해요. 인터넷 세계에는 장소나 시간의 제약이 없기 때문에 예전에는 만나지 못했던 사람이나 연락하기 어려웠던 사람들과 쉽게 연결할 수 있어서 폭발적으로 성장했습니다.

 

 하지만 개인정보가 유출되거나 의도치 않게 노출된 정보를 통해 개인이 특정되는 스토커 범죄가 발생하고 있어요. 또한 SNS를 통해 가짜 뉴스나 유언비어가 확산되는 것도 사회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사내 SNS는 SNS의 시스템을 이용해 회사 내부에서의 연락이나 보고 같은 기업 활동을 지원하는 비즈니스용 SNS 서비스를 사내 SNS라고 불러요. 사내 SNS의 경우 외부에 기밀 정보가 유출되는 상황을 막기 위해 VPN 이용이나 접근 권한을 적절하게 설정하고 관리합니다.

 

스마트 시티 - 똑똑한 도시가 살기 좋은 도시

 

 정보 통신 기술(ICT)을 활용한 살기 좋은 도시를 말해요. 수도나 전력 등의 인프라, 교통망, 안전, 교육, 행정 등 IT 기기로 도시의 다양한 상황을 모니터링해 도시 기능을 적절히 관리합니다. 스마트에는 더 깨끗한 음용수, 더 안전하고 안정적인 전력 공급 등 ICT를 사용해 환경을 더욱 좋게 만든다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도시의 수도는 상수도(음용수)와 하수도(오수)의 순환 시스템으로 스마트 시티에는 수도관이나 저수지를 센서로 감지하여 적절한 수량을 조정하거나 수도 곳곳에 설치한 센서로 수질을 계측해 수처리장에 전하는 등 치밀하게 관리할 수 있어요.

 

 본격적인 스마트 시티에는 수십만 혹은 그 이상의 무인 정보 단말기가 도시 전체에 빈틈없이 설치되는데 이런 상태에서의 보안이 취약한 단말기가 사이버 공격을 받으면 도시 기능의 마비로 이어질 위험이 있기 때문에 보안 대책 강화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M2M - 기계 사이의 대화

 

 기계끼리 직접 통신하는 것으로 인간의 개입 없이 기계와 기계가 협조하며 작동해요. 컴퓨터에서 인쇄를 실행하면 무선으로 접속된 프린터에 전원이 자동으로 들어오면서 인쇄가 시작되는 것이 그 일례입니다. M2M과 IoT는 기계가 통신한다는 점에서는 비슷하지만 IoT의 경우 반드시 다른 기계와 연동되는 것은 아니에요. 또한 IoT는 인터넷을 이용하지만 M2M은 휴대전화와 같은 3G/4G, 유선 LAN 등의 통신도 이용합니다.

 

 M2M의 경우 대부분 서로 통신하는 기기의 조합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통신 방법도 유선과 무선을 상황에 맞게 선택해서 사용합니다. 가령 공장 내부 기계 사이에서 통신하는 경우, 소음으로 인한 오작동을 피하기 위해서는 유선이, 설치 장소에 자유도가 필요한 기계일 때는 무선이 많이 사용돼요.

 

 또한 자율주행 기술 중 하나로 자동차와 자동차가 커뮤니케이션하는 M2M이 있어요. 자동차끼리 통신을 통해 차간 거리를 유지하며 주행하거나 교차로에서의 충돌을 회피함으로써 원활한 교통 흐름에 공헌하고 있습니다.

 

출처 : IT 용어 도감 277

 

ICT의 핵심, 코아아이티

 

이렇게 IT 기본 용어에 대해 간단히 알아봤어요.

저희는 소프트웨어 및 홈페이지 개발부터 네트워크 구축 및 유지 보수까지
IT 전반에 걸친 솔루션을 제공해 드리고 있습니다.

 

IT 관련 솔루션에 대해 보다 더 자세한 내용이 알고 싶으시다면 메일이나 전화를 통해 말씀 주세요.

친절히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IT의 모든 것, 코아아이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