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의 모든 것, 코아아이티
트래픽, LAN, WAN, 인터넷, 인트라넷, SSID - IT 용어 뜻풀이 본문
안녕하세요. 코아아이티입니다. 이번에는 트래픽, LAN과 WAN의 차이와 인터넷과 인트라넷의 차이 그리고 SSID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트래픽 - 네트워크를 지나가는 데이터
네트워크 속을 흘러가는 데이터입니다. 트래픽은 도로를 달리는 자동차나 사람의 흐름을 의미하는데 이것과 같은 뜻에서 쓰고 있어요. 유량 또는 밀도라는 의미가 있어서 인터넷을 흐르는 데이터의 양에 따라 '트래픽의 양이 많다/적다'라고 말합니다. 참고로 개별 컴퓨터의 통신이나 개별적인 데이터 전송 속도를 나타낼 때는 스루풋을 사용합니다.
트래픽이 데이터의 양을 나타내는 데 비해, 스루풋은 단위 시간당 통과하는 데이터의 양, 즉 속도를 나타냅니다. 인터넷상에는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시간을 측정해 결과를 알려주는 각종 사이트가 있습니다.
트래픽은 SEO 용어로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때는 사이트의 방문 수나 열람 수 등의 접속 수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트래픽이 많을수록 사이트의 평가가 높다고 간주되며, 트래픽을 늘리기 위한 대책을 트래픽 SEO라고 부릅니다.
LAN과 WAN - 가까이 있는 컴퓨터 사이의 통신과 광범위한 지역에 있는 컴퓨터의 통신
LAN과 WAN의 차이는 물리적인 통신 범위입니다. LAN 은 물리적으로 한정된 건물 내부나 부서 내부 같은 좁은 범위의 네트워크이고, WAN은 인터넷 등 건물 외부에 있는 광범위한 네트워크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와이파이나 이더넷을 사용한 일정 규모의 네트워크를 LAN이라 하고 대규모 조직이나 통신 사업자 등이 운영하는 LAN과 LAN 사이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WAN이라고 부릅니다.
이더넷은 LAN 케이블의 규격과 TCP/IP 사양이 세트가 된 통신 기술의 명칭입니다. 기술에 적합한 장치라면 '케이블에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이더넷의 가장 큰 특징입니다. 참고로 이더넷 기술 대부분은 WAN에서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LAN과 WAN 이외에도 CAN이나 MAN이 있습니다. C는 캠퍼스(Campus), M은 메트로폴리탄(Metropolitan)의 머리글자로 각각 학교의 교정과 대도시라는 의미입니다. 여러 개의 LAN이 존재하는 지역을 지리적으로 잘라내서 하나의 네트워크 지역으로 간주합니다.
인터넷과 인트라넷 - 개방적인 네트워크와 폐쇄적인 네트워크
인터넷은 불특정한 외부와 연결되어 있는 개방적인 네트워크이고, 인트라넷은 회사나 조직 등에서만 사용하는 폐쇄적인 네트워크입니다. 인터넷과 인트라넷은 통신 범위가 다를 뿐, 사용하는 통신 기술이나 통신 기기는 동일합니다. 인트라넷을 구성하는 방법으로는 물리적으로 케이블을 단절하는 방법과 통신 기기 설정을 통해 외부와의 통신을 논리적으로 단절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인터(Inter)'는 '둘 사이'라는 의미의 접두사로 독립된 네트워크 사이를 연결한다는 뜻입니다. '국제'라는 의미에서 '인터내셔널(Inter-national)'과 용법이 같습니다. 한편 '인트라(Intra)'는 '내부의'라는 의미의 접두사입니다.
인트라넷은 인터넷과 직접 통신하지 못하기 때문에 정보 유출 위험이 낮습니다. 따라서 거래처 정보나 급여 계산 같은 내부 데이터나 사원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등 보안 대책이 필요한 정보를 안전하게 취급할 수 있습니다.
SSID - 와이파이 네트워크의 이름
와이파이의 무선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이름으로, 와이파이 라우터 등의 액세스 포인트에 최대 32문자의 영문과 숫자, 기호를 사용해서 설정합니다. 컴퓨터나 스마트폰의 설정에서 '접속'이라든가 '와이파이(Wi-Fi)' 등의 메뉴를 열었을 때 접속할 후보로 주변에 있는 와이파이 네트워크의 SSID(액세스 포인트)가 표시됩니다. 그중에서 자신이 이용하고 싶은 SSID를 선택해서 접속합니다.
와이파이의 액세스 포인트는 SSID를 주기적으로 송신합니다. 단말기 쪽에서 '한 번 접속했던 SSID를 기억하도록' 설정해 놓았다면 과거에 접속했던 SSID를 수신했을 때 자동으로 접속합니다. 만약 해당하는 SSID가 없다면 목록을 표시하고 접속을 기다립니다.
와이파이 라우터를 사 오면 처음에는 제조사가 기계적으로 배정한 SSID가 설정됩니다. 이 SSID를 그대로 쓸 수도 있지만, 라우터 관리 소프트웨어를 사용해서 자신이 기억하기 쉬운 이름으로 변경하면 재접속을 할 때 쉽게 찾아낼 수 있습니다.
이렇게 트래픽, LAN과 WAN의 차이, 인터넷과 인트라넷의 차이, SSID가 무엇인지 알아봤는데요.
보안 및 백업 솔루션, NAS 구축, 네트워크 및 유지 보수, 소프트웨어 개발 등
코아아이티에서 제공하는 IT 토탈 솔루션 및 서비스에 대해 보다 더 자세한 내용이 알고 싶으시다면
메일이나 전화를 통해 말씀 주세요. 친절히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IT의 모든 것, 코아아이티
'IT 라이브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관련 용어 정리 - 쿠키, OGP, P2P, 크롤러, 봇 (0) | 2025.04.15 |
---|---|
VLAN, CDN, NFV, VoIP - IT 용어 뜻 알아보기 (5) | 2024.10.28 |
그룹웨어, 스트리밍, 테더링, RSS - IT 용어 뜻 (5) | 2024.10.18 |
가용성, RFID, PoC, 웨어러블 디바이스 - IT용어 뜻 알아보기 (2) | 2024.10.16 |
로그, 스크럼, 리팩토링, 데브옵스 - IT 용어 뜻 알아보기 (7) | 2024.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