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의 모든 것, 코아아이티

NAS 입문자를 위한 베이, 캐시, 트랜스코딩, 펌웨어, MAC 주소 뜻 알아보기 본문

IT 라이브러리

NAS 입문자를 위한 베이, 캐시, 트랜스코딩, 펌웨어, MAC 주소 뜻 알아보기

코아아이티 2025. 6. 12. 09:42
반응형

 

 안녕하세요. 시놀로지 공식 파트너 코아아이티입니다. 비용을 들여 NAS를 도입했다면, 관련 용어는 알고 있어야 더 효율적으로 쓸 수 있습니다. 그렇지 않다면 다방면으로 활용이 가능한 NAS는 책상 위 골동품에 불과하죠. 지난 포스팅에 이어 이번에도  NAS 입문자를 위한 베이, 캐시, 트랜스코딩, 펌웨어, MAC 주소 뜻이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할게요.

 

베이, NAS의 확장성과 가능성을 결정짓는 기본 단위

 NAS를 고를 때 가장 먼저 마주치는 단어 중 하나가 바로 베이(Bay)입니다. 베이란, 하드디스크를 장착할 수 있는 슬롯(공간)을 의미하며 흔히 2베이, 4베이처럼 표현합니다. 숫자가 클수록 하드디스크를 더 많이 장착할 수 있고 그만큼 저장 용량과 데이터 보호 방식(RAID)의 선택 폭도 넓어집니다.

 

 예를 들어 2베이 NAS는 하드디스크를 2개 장착할 수 있는데 하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다른 하나는 백업(미러링) 용도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반면 4베이 이상 제품은 저장 공간과 성능, 안정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어 업무용으로도 적합합니다. NAS의 미래 확장성과 안전성을 고려할 때, 베이는 단순한 물리적 공간 그 이상으로 사용자의 데이터 전략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캐시, 느린 NAS를 빠르게 만드는 숨은 조력자

 캐시는 NAS에서 자주 쓰이는 데이터를 미리 저장해두는 고속 임시 저장 공간입니다. 특히 SSD를 캐시 용도로 사용하면, 기존 하드디스크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게 됩니다. 이를 통해 파일 접근 속도가 눈에 띄게 향상되며 다수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할 때도 성능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디자인 파일, 엑셀 문서, 자주 쓰는 프로젝트 폴더 등을 캐시에 올려두면 다음에 열 때 훨씬 빠르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특히 업무 환경에서 협업이 많거나 고용량 파일을 자주 다룬다면 SSD 캐시 구성은 체감 성능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리는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SSD를 캐시 전용으로 추가하려면, 이를 지원하는 모델과 슬롯이 필요합니다. 지원 여부와 설정 방식은 모델마다 다르므로 확인이 필요하지만 성능 향상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투자 중 하나임은 분명합니다.

 

트랜스코딩, 어떤 기기에도 영상이 끊기지 않는 이유

 트랜스 코딩(Transcoding)은 NAS에 저장된 영상 파일을 실시간으로 변환해, 다양한 기기에서 문제없이 실행되도록 돕는 기능입니다. 원본 영상의 해상도나 코덱이 스마트폰, 태블릿, TV 등에서 호환되지 않을 때, NAS가 이를 자동으로 바꿔주는 것이죠.

 

 예를 들어 4K 고해상도 영상을 NAS에 저장해두었는데 오래된 스마트폰에서 실행하려 할 경우 기기가 버벅거리거나 아예 실행이 안 될 수 있습니다. 이때 NAS가 실시간으로 해당 영상을 스마트폰에 맞는 해상도와 포맷으로 바꿔주는 것이 트랜스코딩입니다.

 

 트랜스코딩의 기능은 NAS의 CPU 성능과 직접 연관돼 있습니다. 고사양 CPU를 탑재한 NAS는 고해상도 영상도 부드럽게 변환해 줄 수 있지만 엔트리급 NAS에서는 트랜스코딩이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미디어 소비가 많거나 Plex 같은 서버를 운영할 계획이라면 트랜스코딩 지원 여부는 반드시 확인해야 할 중요한 요소에요.

 

펌웨어, NAS가 네트워크에서 나를 인식하는 방법

 펌웨어는 NAS 장비에 내장되어 있는 기본 소프트웨어로 NAS가 작동하도록 만드는 핵심 역할을 합니다. 쉽게 말해 두뇌 역할을 하며 하드디스크, 네트워크,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 모든 요소가 제대로 동작하게 도와줍니다.

 

 펌웨어 업데이트 과정에서 보안 패치, 새로운 기능 추가, 성능 개선 등이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NAS를 구입하고 나서도 펌웨어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최신 버전으로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해요. 일부 사용자들은 펌웨어 업데이트를 귀찮아하거나 두려워하지만 실제로는 NAS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핵심적인 과정입니다.

 

 시놀로지의 DSM이나 큐냅의 QTS도 펌웨어에 해당하는 운영체제이자 UI지만 그 기반에는 펌웨어가 작동하고 있다는 점을 이해하면 좋습니다. 특히 보안이 중요한 NAS 환경에서, 펌웨어 업데이트는 옵션이 아닌 필수입니다.

 

MAC 주소/IP 주소, NAS가 네트워크에서 나를 인식하는 방법

 NAS는 네트워크 장비이기 때문에 다른 기기들과 소통하기 위해 고유한 주소를 사용합니다. 이때 가장 기본적인 식별자 두 가지가 MAC 주소와 IP 주소입니다.

 

 MAC 주소는 NAS에 물리적으로 부여된 고유한 주소로 NAS가 어떤 장비인지를 네트워크가 식별하는 데 사용됩니다. 바꿀 수 없는 일종의 주민등록번호입니다.

 

 IP 주소는 네트워크 상에서 NAS가 현재 사용하는 주소로, 우리가 NAS에 접속할 때 입력하는 주소입니다. 고정 IP로 설정하면 매번 주소가 바뀌지 않아 편리합니다.

 

 NAS를 처음 설치하거나 네트워크가 꼬였을 때 NAS를 찾지 못한다면 이 두 정보를 잘 알고 있어야 문제 해결이 수월합니다. 특히 NAS가 여러 대 있는 환경이라면, MAC 주소로 정확히 어떤 장비인지 구분하고 고정 IP로 설정해 접속 편의성까지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시놀로지 공식 파트너, 코아아이티

이렇게 NAS 관련 용어인 베이, 캐시, 트랜스코딩, 펌웨어, MAC 주소와 IP 주소의 뜻이 무엇인지 알아봤는데요.

저희는 일반 사무실의 소규모 환경부터 데이터 센터와 같은 대규모 환경까지
전문 엔지니어가 직접 방문해 최적화된 맞춤 네트워크 환경을 제공해 드립니다.

 

NAS 구축에 대해 보다 더 자세한 내용이 알고 싶으시다면

메일이나 전화를 통해 말씀 주세요. 친절히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IT의 모든 것, 코아아이티

반응형